🔥알림🔥
① 테디노트 유튜브 - 구경하러 가기!
② LangChain 한국어 튜토리얼 바로가기 👀
③ 랭체인 노트 무료 전자책(wikidocs) 바로가기 🙌
④ RAG 비법노트 LangChain 강의오픈 바로가기 🙌
⑤ 서울대 PyTorch 딥러닝 강의 바로가기 🙌

22 분 소요

LangChain의 RAG 시스템을 통해 문서(PDF, txt, 웹페이지 등)에 대한 질문-답변을 찾는 과정을 정리하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데이터 소스 연결부터 답변 생성까지의 단계별 접근 방법 을 설명합니다.

끝부분에는, 실제 문서를 활용한 RAG 템플릿 실험 결과도 공유합니다. 템플릿에 다양한 모듈을 조합하여 최상의 결과를 얻기를 바랍니다.

[참고]

이번 튜토리얼은 LangChain으로 네이버 뉴스 기반 Q&A 애플리케이션 구축하기 - 기본편 의 후속편인 심화편 입니다. 각 모듈별 다양한 실험을 통해 최적의 결과를 얻는 방법을 탐구합니다.

주요내용

  • 도큐먼트 로더(document_loader): RAW DATA 로부터 데이터 읽기
  • 문서 분할(splitter): 문서를 규칙에 의하여 Chunk 로 분할
  • Embedding: 다양한 임베딩 알고리즘
  • VectorStore: 벡터DB 에 데이터 저장
  • Embedding: 데이터 저장시 사용할 임베더 선택
  • Retriever: 사용자 쿼리에 따른 데이터 검색
  • 프롬프트(Prompt): LangSmith 의 프롬프트 로드
  • 모델(LLM): OpenAI, HuggingFace 오픈소스 모델
  • 체인 생성: 체인 생성 후 쿼리(query)
  • RAG 템플릿 실험: 실제 문서를 활용한 실험 결과 공유 🧪

rag-1

rag-2

LangChain Q&A 아키텍처

LangChain Q&A 애플리케이션의 아키텍처는 크게 질문 처리답변 생성 두 가지 주요 단계로 구성됩니다. 이 과정에서 여러 LangChain 구성 요소가 사용됩니다.

① 질문 처리

질문 처리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질문을 받아 이를 처리하고, 관련 데이터를 찾는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들이 필요합니다:

  • 데이터 소스 연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찾기 위해 다양한 텍스트 데이터 소스에 연결해야 합니다. LangChain은 다양한 데이터 소스와의 연결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데이터 인덱싱 및 검색: 데이터 소스에서 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기 위해, 데이터는 인덱싱되어야 합니다. LangChain은 인덱싱 과정을 자동화하고, 사용자의 질문과 관련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 필요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② 답변 생성

관련 데이터를 찾은 후에는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질문에 답변을 생성해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다음 구성 요소가 중요합니다:

  • 답변 생성 모델: LangChain은 고급 자연어 처리(NLP) 모델을 사용하여 검색된 데이터로부터 답변을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모델은 사용자의 질문과 검색된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 적절한 답변을 생성합니다.

아키텍처

LangChain 공식문서의 Q&A 소개에서 개요한 대로 전형적인 RAG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 인덱싱: 소스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덱싱하는 파이프라인입니다. 이 작업은 보통 오프라인에서 발생합니다.

  • 검색 및 생성: 실제 RAG 체인으로, 사용자 쿼리를 실행 시간에 받아 인덱스에서 관련 데이터를 검색한 다음, 그 데이터를 모델에 전달합니다.

RAW 데이터에서 답변을 받기까지의 전체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인덱싱

indexing

  1. 로드: 먼저 데이터를 로드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DocumentLoaders를 사용할 것입니다.

  2. 분할: Text splitters는 큰 Documents를 더 작은 청크로 나눕니다. 이는 데이터를 인덱싱하고 모델에 전달하는 데 유용하며, 큰 청크는 검색하기 어렵고 모델의 유한한 컨텍스트 창에 맞지 않습니다.

  3. 저장: 나중에 검색할 수 있도록 분할을 저장하고 인덱싱할 장소가 필요합니다. 이는 종종 VectorStoreEmbeddings 모델을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검색 및 생성

retrieval

  1. 검색: 사용자 입력이 주어지면 Retriever를 사용하여 저장소에서 관련 분할을 검색합니다.

  2. 생성: ChatModel / LLM은 질문과 검색된 데이터를 포함한 프롬프트를 사용하여 답변을 생성합니다

실습에 활용한 문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 - 2023년 12월호

  • 저자: 유재흥(AI정책연구실 책임연구원), 이지수(AI정책연구실 위촉연구원)

  • 링크: https://spri.kr/posts/view/23669

  • 파일명: SPRI_AI_Brief_2023년12월호_F.pdf

실습을 위해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data 폴더로 복사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경설정

API KEY 를 설정합니다.

# API 키를 환경변수로 관리하기 위한 설정 파일
from dotenv import load_dotenv

# API 키 정보 로드
load_dotenv()
True

LangChain으로 구축한 애플리케이션은 여러 단계에 걸쳐 LLM 호출을 여러 번 사용하게 됩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이 점점 더 복잡해짐에 따라, 체인이나 에이전트 내부에서 정확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조사할 수 있는 능력이 매우 중요해집니다. 이를 위한 최선의 방법은 LangSmith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LangSmith가 필수는 아니지만, 유용합니다. LangSmith를 사용하고 싶다면, 위의 링크에서 가입한 후, 로깅 추적을 시작하기 위해 환경 변수를 설정해야 합니다.

import os

# 디버깅을 위한 프로젝트명을 기입합니다.
os.environ["LANGCHAIN_PROJECT"] = "RAG TUTORIAL"

# tracing 을 위해서는 아래 코드의 주석을 해제하고 실행합니다.
# os.environ["LANGCHAIN_TRACING_V2"] = true

모듈별로 자세히 살펴보기

import bs4
from langchain import hub
from langchain.text_splitter import RecursiveCharacterTextSplitter
from langchain_community.document_loaders import WebBaseLoader
from langchain_community.vectorstores import Chroma, FAISS
from langchain_core.output_parsers import StrOutputParser
from langchain_core.runnables import RunnablePassthrough
from langchain_openai import ChatOpenAI, OpenAIEmbeddings

아래는 에서 다뤘던 기본적인 RAG 모델을 사용하는 예제입니다.

여기서 각 단계별로 다양한 옵션을 설정하거나 새로운 기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단계 1: 문서 로드(Load Documents)
# 뉴스기사 내용을 로드하고, 청크로 나누고, 인덱싱합니다.
url =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78416"
loader = WebBaseLoader(
    web_paths=(url,),
    bs_kwargs=dict(
        parse_only=bs4.SoupStrainer(
            "div",
            attrs={"class": ["newsct_article _article_body", "media_end_head_title"]},
        )
    ),
)
docs = loader.load()


# 단계 2: 문서 분할(Split Documents)
text_splitter = RecursiveCharacterTextSplitter(chunk_size=1000, chunk_overlap=50)

splits = text_splitter.split_documents(docs)

# 단계 3: 임베딩 & 벡터스토어 생성(Create Vectorstore)
# 벡터스토어를 생성합니다.
vectorstore = FAISS.from_documents(documents=splits, embedding=OpenAIEmbeddings())

# 단계 4: 검색(Search)
# 뉴스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검색하고 생성합니다.
retriever = vectorstore.as_retriever()

# 단계 5: 프롬프트 생성(Create Prompt)
# 프롬프트를 생성합니다.
prompt = hub.pull("rlm/rag-prompt")

# 단계 6: 언어모델 생성(Create LLM)
# 모델(LLM) 을 생성합니다.
llm = ChatOpenAI(model_name="gpt-3.5-turbo", temperature=0)


def format_docs(docs):
    # 검색한 문서 결과를 하나의 문단으로 합쳐줍니다.
    return "\n\n".join(doc.page_content for doc in docs)


# 단계 7: 체인 생성(Create Chain)
rag_chain = (
    {"context": retriever | format_docs, "question": RunnablePassthrough()}
    | prompt
    | llm
    | StrOutputParser()
)

# 단계 8: 체인 실행(Run Chain)
# 문서에 대한 질의를 입력하고, 답변을 출력합니다.
question = "부영그룹의 출산 장려 정책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response = rag_chain.invoke(question)

# 결과 출력
print(f"URL: {url}")
print(f"문서의 수: {len(docs)}")
print("===" * 20)
print(f"[HUMAN]\n{question}\n")
print(f"[AI]\n{response}")
URL: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78416
문서의 수: 1
============================================================
[HUMAN]
부영그룹의 출산 장려 정책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AI]
부영그룹은 2021년 이후 태어난 직원 자녀에게 1억원을 지원하는 출산 장려 정책을 내놓았습니다. 또한, 셋째까지 낳는 경우에는 국민주택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직원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출산을 장려하기 위한 것입니다.

단계 ①: 문서 로드(Load Documents)

웹페이지

WebBaseLoader는 지정된 웹 페이지에서 필요한 부분만을 파싱하기 위해 bs4.SoupStrainer를 사용합니다.

[참고]

  • bs4.SoupStrainer 는 편리하게 웹에서 원하는 요소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해줍니다.

(예시)


bs4.SoupStrainer(

    "div",

    attrs={"class": ["newsct_article _article_body", "media_end_head_title"]}, # 클래스 명을 입력

)



bs4.SoupStrainer(

    "article",

    attrs={"id": ["dic_area"]}, # 클래스 명을 입력

)

아래의 BBC 뉴스 기사입니다. 영문으로 작성된 기사로 시험해 보고 싶다면, 아래의 주석을 해제하고 실행해 보세요.

# 뉴스기사의 내용을 로드하고, 청크로 나누고, 인덱싱합니다.
loader = WebBaseLoader(
    web_paths=("https://www.bbc.com/news/business-68092814",),
    bs_kwargs=dict(
        parse_only=bs4.SoupStrainer(
            "main",
            attrs={"id": ["main-content"]},
        )
    ),
)
docs = loader.load()
print(f"문서의 수: {len(docs)}")
docs[0].page_content[:500]
문서의 수: 1
'Could AI \'trading bots\' transform the world of investing?Published5 days agoShareclose panelShare pageCopy linkAbout sharingImage source, Getty ImagesImage caption, It is hard for both humans and computers to predict stock market movementsBy Jonty BloomBusiness reporterSearch for "AI investing" online, and you\'ll be flooded with endless offers to let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 your money.I recently spent half an hour finding out what so-called AI "trading bots" could apparently do with my in'

PDF

from langchain.document_loaders import PyPDFLoader

# PDF 파일 로드. 파일의 경로 입력
loader = PyPDFLoader("data/SPRI_AI_Brief_2023년12월호_F.pdf")

# 페이지 별 문서 로드
docs = loader.load()
print(f"문서의 수: {len(docs)}")

# 10번째 페이지의 내용 출력
print(f"\n[페이지내용]\n{docs[10].page_content[:500]}")
print(f"\n[metadata]\n{docs[10].metadata}\n")
문서의 수: 23

[페이지내용]
SPRi AI Brief |  
2023-12 월호
8코히어 , 데이터 투명성 확보를 위한 데이터 출처 탐색기 공개
n코히어와 12개 기관이  광범위한 데이터셋에 대한 감사를 통해 원본 데이터 출처, 재라이선스 상태, 
작성자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출처 탐색기 ’ 플랫폼을 출시
n대화형 플랫폼을 통해 개발자는 데이터셋의 라이선스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데이터셋의 
구성과 계보도 추적 가능KEY Contents
£데이터 출처 탐색기 , 광범위한 데이터셋 정보 제공을 통해 데이터 투명성 향상
nAI 기업 코히어 (Cohere) 가 매사추세츠 공과⼤(MIT), 하버드 ⼤ 로스쿨 , 카네기멜론 ⼤ 등 12개 기관과  
함께 2023 년 10월 25일 ‘데이터 출처 탐색기 (Data Provenance Explorer)’ 플랫폼을 공개
∙AI 모델 훈련에 사용되는 데이터셋의 불분명한 출처로 인해 데이터 투명성이 확보되지 않아 다양한 
법적·윤리적 문제가 발생
∙이에 연구

[metadata]
{'source': 'data/SPRI_AI_Brief_2023년12월호_F.pdf', 'page': 10}

CSV

CSV 는 페이지 번호 대신 행번호로 데이터를 조회합니다.

from langchain_community.document_loaders.csv_loader import CSVLoader

# CSV 파일 로드
loader = CSVLoader(file_path="data/titanic.csv")
docs = loader.load()
print(f"문서의 수: {len(docs)}")

# 10번째 페이지의 내용 출력
print(f"\n[페이지내용]\n{docs[10].page_content[:500]}")
print(f"\n[metadata]\n{docs[10].metadata}\n")
문서의 수: 891

[페이지내용]
PassengerId: 11
Survived: 1
Pclass: 3
Name: Sandstrom, Miss. Marguerite Rut
Sex: female
Age: 4
SibSp: 1
Parch: 1
Ticket: PP 9549
Fare: 16.7
Cabin: G6
Embarked: S

[metadata]
{'source': 'data/titanic.csv', 'row': 10}

TXT 파일

from langchain_community.document_loaders import TextLoader

loader = TextLoader("data/appendix-keywords.txt")
docs = loader.load()
print(f"문서의 수: {len(docs)}")

# 10번째 페이지의 내용 출력
print(f"\n[페이지내용]\n{docs[10].page_content[:500]}")
print(f"\n[metadata]\n{docs[10].metadata}\n")
문서의 수: 1

폴더 내의 모든 파일 로드

아래는 폴더 내 모든 .txt 파일을 로드하는 예시입니다.

from langchain_community.document_loaders import DirectoryLoader

loader = DirectoryLoader(".", glob="data/*.txt", show_progress=True)
docs = loader.load()

print(f"문서의 수: {len(docs)}")

# 10번째 페이지의 내용 출력
print(f"\n[페이지내용]\n{docs[10].page_content[:500]}")
print(f"\n[metadata]\n{docs[10].metadata}\n")

다음은 폴더내 모든 .pdf 파일을 로드하는 예제입니다.

from langchain_community.document_loaders import DirectoryLoader

loader = DirectoryLoader(".", glob="data/*.pdf")
docs = loader.load()

print(f"문서의 수: {len(docs)}\n")
print("[메타데이터]\n")
print(docs[0].metadata)
print("\n========= [앞부분] 미리보기 =========\n")
print(docs[0].page_content[2500:3000])

Python

다음은 .py 파일을 로드하는 예제입니다.

from langchain_community.document_loaders import PythonLoader

loader = DirectoryLoader(".", glob="**/*.py", loader_cls=PythonLoader)
docs = loader.load()

print(f"문서의 수: {len(docs)}\n")
print("[메타데이터]\n")
print(docs[0].metadata)
print("\n========= [앞부분] 미리보기 =========\n")
print(docs[0].page_content[:500])

단계 ②: 문서 분할(Split Documents)

# 뉴스기사의 내용을 로드하고, 청크로 나누고, 인덱싱합니다.
loader = WebBaseLoader(
    web_paths=("https://www.bbc.com/news/business-68092814",),
    bs_kwargs=dict(
        parse_only=bs4.SoupStrainer(
            "main",
            attrs={"id": ["main-content"]},
        )
    ),
)
docs = loader.load()
print(f"문서의 수: {len(docs)}")
docs[0].page_content[:500]

CharacterTextSplitter

이것은 가장 간단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문자를 기준으로 분할합니다(기본값은 “\n\n”) 그리고 청크의 길이를 문자의 수로 측정합니다.

  1. 텍스트가 어떻게 분할되는지: 단일 문자 단위

  2. 청크 크기가 어떻게 측정되는지: len of characters.

시각화 예제: https://chunkviz.up.railway.app/

CharacterTextSplitter 클래스는 텍스트를 특정 크기의 청크로 분할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separator 매개변수는 청크를 구분하는 데 사용되는 문자열을 지정하며, 여기서는 두 개의 개행 문자("\n\n")를 사용합니다

  • chunk_size는 각 청크의 최대 길이를 결정합니다

  • chunk_overlap은 인접한 청크 간에 겹치는 문자의 수를 지정합니다.

  • length_function은 청크의 길이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함수를 결정하며, 기본적으로 문자열의 길이를 반환하는 len 함수가 사용됩니다.

  • is_separator_regexseparator가 정규 표현식으로 해석될지 여부를 결정하는 불리언 값입니다.

from langchain.text_splitter import CharacterTextSplitter

text_splitter = CharacterTextSplitter(
    separator="\n\n",
    chunk_size=100,
    chunk_overlap=10,
    length_function=len,
    is_separator_regex=False,
)

이 함수는 text_splitter 객체의 create_documents 메소드를 사용하여 주어진 텍스트(state_of_the_union)를 여러 문서로 분할하고, 그 결과를 texts 변수에 저장합니다. 이후 texts의 첫 번째 문서를 출력합니다. 이 과정은 텍스트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기 위한 초기 단계로 볼 수 있으며, 특히 큰 텍스트 데이터를 관리 가능한 크기의 단위로 나누는 데 유용합니다.

# chain of density 논문의 일부 내용을 불러옵니다
with open("data/chain-of-density.txt", "r") as f:
    text = f.read()[:500]
text_splitter = CharacterTextSplitter(
    chunk_size=100, chunk_overlap=10, separator="\n\n"
)
text_splitter.split_text(text)
['Selecting the “right” amount of information to include in a summary is a difficult task. \nA good summary should be detailed and entity-centric without being overly dense and hard to follow. To better understand this tradeoff, we solicit increasingly dense GPT-4 summaries with what we refer to as a “Chain of Density” (CoD) prompt. Specifically, GPT-4 generates an initial entity-sparse summary before iteratively incorporating missing salient entities without increasing the length. Summaries genera']
text_splitter = CharacterTextSplitter(chunk_size=100, chunk_overlap=10, separator="\n")
text_splitter.split_text(text)
['Selecting the “right” amount of information to include in a summary is a difficult task.',
 'A good summary should be detailed and entity-centric without being overly dense and hard to follow. To better understand this tradeoff, we solicit increasingly dense GPT-4 summaries with what we refer to as a “Chain of Density” (CoD) prompt. Specifically, GPT-4 generates an initial entity-sparse summary before iteratively incorporating missing salient entities without increasing the length. Summaries genera']
text_splitter = CharacterTextSplitter(chunk_size=100, chunk_overlap=10, separator=" ")
text_splitter.split_text(text)
['Selecting the “right” amount of information to include in a summary is a difficult task. \nA good',
 'A good summary should be detailed and entity-centric without being overly dense and hard to follow.',
 'to follow. To better understand this tradeoff, we solicit increasingly dense GPT-4 summaries with',
 'with what we refer to as a “Chain of Density” (CoD) prompt. Specifically, GPT-4 generates an initial',
 'an initial entity-sparse summary before iteratively incorporating missing salient entities without',
 'without increasing the length. Summaries genera']
text_splitter = CharacterTextSplitter(chunk_size=100, chunk_overlap=0, separator=" ")
text_splitter.split_text(text)
['Selecting the “right” amount of information to include in a summary is a difficult task. \nA good',
 'summary should be detailed and entity-centric without being overly dense and hard to follow. To',
 'better understand this tradeoff, we solicit increasingly dense GPT-4 summaries with what we refer to',
 'as a “Chain of Density” (CoD) prompt. Specifically, GPT-4 generates an initial entity-sparse summary',
 'before iteratively incorporating missing salient entities without increasing the length. Summaries',
 'genera']
text_splitter = CharacterTextSplitter(chunk_size=1000, chunk_overlap=100, separator=" ")
# text 파일을 청크로 나누어줍니다.
text_splitter.split_text(text)

# document를 청크로 나누어줍니다.
split_docs = text_splitter.split_documents(docs)
len(split_docs)
7
split_docs[0]
Document(page_content='Semantic Search\n\n정의: 의미론적 검색은 사용자의 질의를 단순한 키워드 매칭을 넘어서 그 의미를 파악하여 관련된 결과를 반환하는 검색 방식입니다.\n예시: 사용자가 "태양계 행성"이라고 검색하면, "목성", "화성" 등과 같이 관련된 행성에 대한 정보를 반환합니다.\n연관키워드: 자연어 처리, 검색 알고리즘, 데이터 마이닝\n\nEmbedding\n\n정의: 임베딩은 단어나 문장 같은 텍스트 데이터를 저차원의 연속적인 벡터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컴퓨터가 텍스트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n예시: "사과"라는 단어를 [0.65, -0.23, 0.17]과 같은 벡터로 표현합니다.\n연관키워드: 자연어 처리, 벡터화, 딥러닝\n\nToken\n\n정의: 토큰은 텍스트를 더 작은 단위로 분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단어, 문장, 또는 구절일 수 있습니다.\n예시: 문장 "나는 학교에 간다"를 "나는", "학교에", "간다"로 분할합니다.\n연관키워드: 토큰화, 자연어 처리, 구문 분석\n\nTokenizer\n\n정의: 토크나이저는 텍스트 데이터를 토큰으로 분할하는 도구입니다. 이는 자연어 처리에서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n예시: "I love programming."이라는 문장을 ["I", "love", "programming", "."]으로 분할합니다.\n연관키워드: 토큰화, 자연어 처리, 구문 분석\n\nVectorStore\n\n정의: 벡터스토어는 벡터 형식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검색, 분류 및 기타 데이터 분석 작업에 사용됩니다.\n예시: 단어 임베딩 벡터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n연관키워드: 임베딩, 데이터베이스, 벡터화\n\nSQL\n\n정의: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데이터 조회, 수정, 삽입, 삭제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n예시: SELECT * FROM users WHERE', metadata={'source': 'data/appendix-keywords.txt'})
# 뉴스기사의 내용을 로드하고, 청크로 나누고, 인덱싱합니다.
loader = WebBaseLoader(
    web_paths=("https://www.bbc.com/news/business-68092814",),
    bs_kwargs=dict(
        parse_only=bs4.SoupStrainer(
            "main",
            attrs={"id": ["main-content"]},
        )
    ),
)

# splitter 를 정의합니다.
text_splitter = CharacterTextSplitter(chunk_size=1000, chunk_overlap=100, separator=" ")

# 문서를 로드시 바로 분할까지 수행합니다.
split_docs = loader.load_and_split(text_splitter=text_splitter)
print(f"문서의 수: {len(docs)}")
docs[0].page_content[:500]
문서의 수: 1
'Semantic Search\n\n정의: 의미론적 검색은 사용자의 질의를 단순한 키워드 매칭을 넘어서 그 의미를 파악하여 관련된 결과를 반환하는 검색 방식입니다.\n예시: 사용자가 "태양계 행성"이라고 검색하면, "목성", "화성" 등과 같이 관련된 행성에 대한 정보를 반환합니다.\n연관키워드: 자연어 처리, 검색 알고리즘, 데이터 마이닝\n\nEmbedding\n\n정의: 임베딩은 단어나 문장 같은 텍스트 데이터를 저차원의 연속적인 벡터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컴퓨터가 텍스트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n예시: "사과"라는 단어를 [0.65, -0.23, 0.17]과 같은 벡터로 표현합니다.\n연관키워드: 자연어 처리, 벡터화, 딥러닝\n\nToken\n\n정의: 토큰은 텍스트를 더 작은 단위로 분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단어, 문장, 또는 구절일 수 있습니다.\n예시: 문장 "나는 학교에 간다"를 "나는", "학교에", "간다"로 분할합니다.\n연관키워드: 토큰화, 자연어'

RecursiveTextSplitter

이 텍스트 분할기는 일반 텍스트에 권장되는 텍스트 분할기입니다.

  1. 텍스트가 어떻게 분할 규칙: list of separators

  2. 청크 크기가 어떻게 측정되는가: len of characters

# langchain 패키지에서 RecursiveCharacterTextSplitter 클래스를 가져옵니다.
from langchain.text_splitter import RecursiveCharacterTextSplitter

RecursiveCharacterTextSplitter 클래스는 텍스트를 재귀적으로 분할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클래스는 chunk_size로 분할할 청크의 크기, chunk_overlap으로 인접 청크 간의 겹침 크기, length_function으로 청크의 길이를 계산하는 함수, 그리고 is_separator_regex로 구분자가 정규 표현식인지 여부를 지정하는 매개변수를 받습니다. 예시에서는 청크 크기를 100, 겹침 크기를 20으로 설정하고, 길이 계산 함수로 len을 사용하며, 구분자가 정규 표현식이 아님을 나타내기 위해 is_separator_regexFalse로 설정합니다.

recursive_text_splitter = RecursiveCharacterTextSplitter(
    # 정말 작은 청크 크기를 설정합니다.
    chunk_size=100,
    chunk_overlap=10,
    length_function=len,
    is_separator_regex=False,
)
# chain of density 논문의 일부 내용을 불러옵니다
with open("data/chain-of-density.txt", "r") as f:
    text = f.read()[:500]
character_text_splitter = CharacterTextSplitter(
    chunk_size=100, chunk_overlap=10, separator=" "
)
for sent in character_text_splitter.split_text(text):
    print(sent)
print("===" * 20)
recursive_text_splitter = RecursiveCharacterTextSplitter(
    chunk_size=100, chunk_overlap=10
)
for sent in recursive_text_splitter.split_text(text):
    print(sent)
  • 지정한 separators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시도하며 주어진 문서를 분할합니다.

  • 청크가 충분히 작아질 때까지 순서대로 분할을 시도합니다. 기본 목록은 [“\n\n”, “\n”, “ “, ““]입니다.

  • 이는 일반적으로 의미적으로 가장 연관성이 강한 텍스트 조각인 것처럼 보이는 모든 단락(그리고 문장, 단어)을 가능한 한 길게 유지하려는 효과가 있습니다.

# recursive_text_splitter 에 기본 지정된 separators 를 확인합니다.
recursive_text_splitter._separators

Semantic Similarity

의미적 유사성을 기준으로 텍스트를 분할합니다.

출처: Greg Kamradt’s Notebook

높은 수준(high level)에서 문장으로 분할한 다음 3개 문장으로 그룹화한 다음 임베딩 공간에서 유사한 문장을 병합하는 방식입니다.

#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합니다.
# !pip install -U langchain langchain_experimental -q
from langchain_experimental.text_splitter import SemanticChunker
from langchain_openai.embeddings import OpenAIEmbeddings

# SemanticChunker 를 생성합니다.
semantic_text_splitter = SemanticChunker(
    OpenAIEmbeddings(), add_start_index=True)
# chain of density 논문의 일부 내용을 불러옵니다
with open("data/chain-of-density.txt", "r") as f:
    text = f.read()

for sent in semantic_text_splitter.split_text(text):
    print(sent)
    print("===" * 20)
Selecting the “right” amount of information to include in a summary is a difficult task. A good summary should be detailed and entity-centric without being overly dense and hard to follow. To better understand this tradeoff, we solicit increasingly dense GPT-4 summaries with what we refer to as a “Chain of Density” (CoD) prompt. Specifically, GPT-4 generates an initial entity-sparse summary before iteratively incorporating missing salient entities without increasing the length. Summaries generated by CoD are more abstractive, exhibit more fusion, and have less of a lead bias than GPT-4 summaries generated by a vanilla prompt. We conduct a human preference study on 100 CNN DailyMail articles and find that that humans prefer GPT-4 summaries that are more dense than those generated by a vanilla prompt and almost as dense as human written summaries. Qualitative analysis supports the notion that there exists a tradeoff between infor-mativeness and readability. 500 annotated CoD summaries, as well as an extra 5,000 unannotated summaries, are freely available on HuggingFace. Introduction

Automatic summarization has come a long way in the past few years, largely due to a paradigm shift away from supervised fine-tuning on labeled datasets to zero-shot prompting with Large Language Models (LLMs), such as GPT-4 (OpenAI, 2023). Without additional training, careful prompting can enable fine-grained control over summary characteristics, such as length (Goyal et al., 2022), topics (Bhaskar et al., 2023), and style (Pu and Demberg, 2023).
============================================================
An overlooked aspect is the information density of an summary. In theory, as a compression of another text, a summary should be denser–containing a higher concentration of information–than the source document. Given the high latency of LLM decoding (Kad-dour et al., 2023), covering more information in fewer words is a worthy goal, especially for real-time applications. Yet, how dense is an open question. A summary is uninformative if it contains insufficient detail. If it contains too much information, however, it can be-come difficult to follow without having to increase the overall length. Conveying more information subject to a fixed token budget requires a combination of abstrac-tion, compression, and fusion. There is a limit to how much space can be made for additional information before becoming illegible or even factually incorrect.
============================================================

단계 ③: 임베딩(Embedding)

참고: https://python.langchain.com/docs/integrations/text_embedding

유료 과금 임베딩(OpenAI)

from langchain_community.vectorstores import FAISS
from langchain_openai.embeddings import OpenAIEmbeddings

# 단계 3: 임베딩 & 벡터스토어 생성(Create Vectorstore)
# 벡터스토어를 생성합니다.
vectorstore = FAISS.from_documents(
    documents=splits, embedding=OpenAIEmbeddings())

다음은 OpenAI 의 지원되는 Embedding 모델들의 목록입니다.

  • 기본 값은 text-embeding-ada-002 입니다.
MODEL ROUGH PAGES PER DOLLAR EXAMPLE PERFORMANCE ON MTEB EVAL

| ———————- | ———————- | ——————————– |

text-embedding-3-small 62,500 62.3%
text-embedding-3-large 9,615 64.6%
text-embedding-ada-002 12,500 61.0%
vectorstore = FAISS.from_documents(
    documents=splits, embedding=OpenAIEmbeddings(model="text-embedding-3-small")
)
Warning: model not found. Using cl100k_base encoding.

무료 Open Source 기반 임베딩

from langchain_community.embeddings import HuggingFaceBgeEmbeddings

# 단계 3: 임베딩 & 벡터스토어 생성(Create Vectorstore)
# 벡터스토어를 생성합니다.
vectorstore = FAISS.from_documents(
    documents=splits, embedding=HuggingFaceBgeEmbeddings()
)
# !pip install fastembed -q
from langchain_community.embeddings.fastembed import FastEmbedEmbeddings

vectorstore = FAISS.from_documents(
    documents=splits, embedding=FastEmbedEmbeddings())

단계 ④: 벡터스토어 생성(Create Vectorstore)

from langchain_community.vectorstores import FAISS

# FAISS DB 적용
vectorstore = FAISS.from_documents(
    documents=splits, embedding=OpenAIEmbeddings())
from langchain_community.vectorstores import Chroma

# Chroma DB 적용
vectorstore = Chroma.from_documents(documents=splits, embedding=OpenAIEmbeddings())

단계 ⑤: Retriever 생성

리트리버는 구조화되지 않은 쿼리가 주어지면 문서를 반환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리트리버는 문서를 저장할 필요 없이 문서를 반환(또는 검색)하기만 합니다.

생성된 VectorStore 에 as_retriver() 로 가져와서 Retriever 를 생성합니다.

유사도 기반 검색

  • 기본값은 코사인 유사도인 similarity 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query = "회사의 저출생 정책이 뭐야?"

retriever = vectorstore.as_retriever(search_type="similarity")
search_result = retriever.get_relevant_documents(query)
print(search_result)
[Document(page_content="출산 직원에게 '1억원' 쏜다…회사의 파격적 저출생 정책", metadata={'source':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78416'}), Document(page_content="출산 직원에게 '1억원' 쏜다…회사의 파격적 저출생 정책", metadata={'source':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78416'}), Document(page_content="출산 직원에게 '1억원' 쏜다…회사의 파격적 저출생 정책", metadata={'source':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78416'}), Document(page_content="출산 직원에게 '1억원' 쏜다…회사의 파격적 저출생 정책", metadata={'source':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78416'})]

similarity_score_threshold 는 유사도 기반 검색에서 score_threshold 이상인 결과만 반환합니다.

query = "회사의 저출생 정책이 뭐야?"

retriever = vectorstore.as_retriever(
    search_type="similarity_score_threshold", search_kwargs={"score_threshold": 0.8}
)
search_result = retriever.get_relevant_documents(query)
print(search_result)
[Document(page_content="출산 직원에게 '1억원' 쏜다…회사의 파격적 저출생 정책", metadata={'source':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78416'}), Document(page_content="출산 직원에게 '1억원' 쏜다…회사의 파격적 저출생 정책", metadata={'source':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78416'}), Document(page_content="출산 직원에게 '1억원' 쏜다…회사의 파격적 저출생 정책", metadata={'source':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78416'}), Document(page_content="출산 직원에게 '1억원' 쏜다…회사의 파격적 저출생 정책", metadata={'source':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78416'})]

maximum marginal search result 를 사용하여 검색합니다.

query = "회사의 저출생 정책이 뭐야?"

retriever = vectorstore.as_retriever(search_type="mmr", search_kwargs={"k": 2})
search_result = retriever.get_relevant_documents(query)
print(search_result)
[Document(page_content="출산 직원에게 '1억원' 쏜다…회사의 파격적 저출생 정책", metadata={'source':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78416'}), Document(page_content='남성 직원의 육아휴직을 의무화한 곳도 있습니다.사내 어린이집을 밤 10시까지 운영하고 셋째를 낳으면 무조건 승진시켜 주기도 합니다.한 회사는 지난해 네쌍둥이를 낳은 직원에 의료비를 지원해 관심을 모았습니다.정부 대신 회사가 나서는 출산장려책이 사회적 분위기를 바꿀 거라는 기대가 커지는 가운데, 여력이 부족한 중소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영상디자인 곽세미]', metadata={'source':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78416'})]

다양한 쿼리 생성

from langchain.retrievers.multi_query import MultiQueryRetriever
from langchain_openai import ChatOpenAI

query = "회사의 저출생 정책이 뭐야?"

llm = ChatOpenAI(temperature=0, model="gpt-3.5-turbo")

retriever_from_llm = MultiQueryRetriever.from_llm(
    retriever=vectorstore.as_retriever(), llm=llm
)
# Set logging for the queries
import logging

logging.basicConfig()
logging.getLogger("langchain.retrievers.multi_query").setLevel(logging.INFO)
unique_docs = retriever_from_llm.get_relevant_documents(query=question)
len(unique_docs)
INFO:langchain.retrievers.multi_query:Generated queries: ['1. 부영그룹의 출산 장려 정책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나요?', '2. 부영그룹은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어떤 정책을 시행하고 있나요?', '3. 출산율 증가를 위해 부영그룹이 채택한 정책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2

Ensemble Retriever

from langchain.retrievers import BM25Retriever, EnsembleRetriever
from langchain_community.vectorstores import FAISS
from langchain_openai import OpenAIEmbeddings
doc_list = [
    "난 오늘 많이 먹어서 배가 정말 부르다",
    "떠나는 저 배가 오늘 마지막 배인가요?",
    "내가 제일 좋아하는 과일들은 배, 사과, 키워, 수박 입니다.",
]

# initialize the bm25 retriever and faiss retriever
bm25_retriever = BM25Retriever.from_texts(doc_list)
bm25_retriever.k = 2

faiss_vectorstore = FAISS.from_texts(doc_list, OpenAIEmbeddings())
faiss_retriever = faiss_vectorstore.as_retriever(search_kwargs={"k": 2})

# initialize the ensemble retriever
ensemble_retriever = EnsembleRetriever(
    retrievers=[bm25_retriever, faiss_retriever], weights=[0.5, 0.5]
)
def pretty_print(docs):
    for i, doc in enumerate(docs):
        print(f"[{i+1}] {doc.page_content}")
sample_query = "나 요즘 배에 정말 살이 많이 쪘어..."
print(f"[Query]\n{sample_query}\n")
relevant_docs = bm25_retriever.get_relevant_documents(sample_query)
print("[BM25 Retriever]")
pretty_print(relevant_docs)
print("===" * 20)
relevant_docs = faiss_retriever.get_relevant_documents(sample_query)
print("[FAISS Retriever]")
pretty_print(relevant_docs)
print("===" * 20)
relevant_docs = ensemble_retriever.get_relevant_documents(sample_query)
print("[Ensemble Retriever]")
pretty_print(relevant_docs)
[Query]
나 요즘 배에 정말 살이 많이 쪘어...

[BM25 Retriever]
[1] 난 오늘 많이 먹어서 배가 정말 부르다
[2] 내가 제일 좋아하는 과일들은 배, 사과, 키워, 수박 입니다.
============================================================
[FAISS Retriever]
[1] 난 오늘 많이 먹어서 배가 정말 부르다
[2] 떠나는 저 배가 오늘 마지막 배인가요?
============================================================
[Ensemble Retriever]
[1] 난 오늘 많이 먹어서 배가 정말 부르다
[2] 떠나는 저 배가 오늘 마지막 배인가요?
[3] 내가 제일 좋아하는 과일들은 배, 사과, 키워, 수박 입니다.
sample_query = "바다 위에 떠다니는 배들이 많다"
print(f"[Query]\n{sample_query}\n")
relevant_docs = bm25_retriever.get_relevant_documents(sample_query)
print("[BM25 Retriever]")
pretty_print(relevant_docs)
print("===" * 20)
relevant_docs = faiss_retriever.get_relevant_documents(sample_query)
print("[FAISS Retriever]")
pretty_print(relevant_docs)
print("===" * 20)
relevant_docs = ensemble_retriever.get_relevant_documents(sample_query)
print("[Ensemble Retriever]")
pretty_print(relevant_docs)
[Query]
바다 위에 떠다니는 배들이 많다

[BM25 Retriever]
[1] 내가 제일 좋아하는 과일들은 배, 사과, 키워, 수박 입니다.
[2] 떠나는 저 배가 오늘 마지막 배인가요?
============================================================
[FAISS Retriever]
[1] 난 오늘 많이 먹어서 배가 정말 부르다
[2] 떠나는 저 배가 오늘 마지막 배인가요?
============================================================
[Ensemble Retriever]
[1] 떠나는 저 배가 오늘 마지막 배인가요?
[2] 난 오늘 많이 먹어서 배가 정말 부르다
[3] 내가 제일 좋아하는 과일들은 배, 사과, 키워, 수박 입니다.
sample_query = "ships"
print(f"[Query]\n{sample_query}\n")
relevant_docs = bm25_retriever.get_relevant_documents(sample_query)
print("[BM25 Retriever]")
pretty_print(relevant_docs)
print("===" * 20)
relevant_docs = faiss_retriever.get_relevant_documents(sample_query)
print("[FAISS Retriever]")
pretty_print(relevant_docs)
print("===" * 20)
relevant_docs = ensemble_retriever.get_relevant_documents(sample_query)
print("[Ensemble Retriever]")
pretty_print(relevant_docs)
[Query]
ships

[BM25 Retriever]
[1] 내가 제일 좋아하는 과일들은 배, 사과, 키워, 수박 입니다.
[2] 떠나는 저 배가 오늘 마지막 배인가요?
============================================================
[FAISS Retriever]
[1] 떠나는 저 배가 오늘 마지막 배인가요?
[2] 내가 제일 좋아하는 과일들은 배, 사과, 키워, 수박 입니다.
============================================================
[Ensemble Retriever]
[1] 떠나는 저 배가 오늘 마지막 배인가요?
[2] 내가 제일 좋아하는 과일들은 배, 사과, 키워, 수박 입니다.
sample_query = "pear"
print(f"[Query]\n{sample_query}\n")
relevant_docs = bm25_retriever.get_relevant_documents(sample_query)
print("[BM25 Retriever]")
pretty_print(relevant_docs)
print("===" * 20)
relevant_docs = faiss_retriever.get_relevant_documents(sample_query)
print("[FAISS Retriever]")
pretty_print(relevant_docs)
print("===" * 20)
relevant_docs = ensemble_retriever.get_relevant_documents(sample_query)
print("[Ensemble Retriever]")
pretty_print(relevant_docs)
[Query]
pear

[BM25 Retriever]
[1] 내가 제일 좋아하는 과일들은 배, 사과, 키워, 수박 입니다.
[2] 떠나는 저 배가 오늘 마지막 배인가요?
============================================================
[FAISS Retriever]
[1] 내가 제일 좋아하는 과일들은 배, 사과, 키워, 수박 입니다.
[2] 떠나는 저 배가 오늘 마지막 배인가요?
============================================================
[Ensemble Retriever]
[1] 내가 제일 좋아하는 과일들은 배, 사과, 키워, 수박 입니다.
[2] 떠나는 저 배가 오늘 마지막 배인가요?

단계 ⑥: 프롬프트 생성(Create Prom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주어진 데이터(context)를 토대로 우리가 원하는 결과를 도출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TIP1]

  1. 만약, retriever 에서 도출한 결과에서 중요한 정보가 누락된다면 retriever 의 로직을 수정해야 합니다.

  2. 만약, retriever 에서 도출한 결과가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만, llm 이 그 중에서 중요한 정보를 찾지 못한거나 원하는 형태로 출력하지 않는다면 프롬프트를 수정해야 합니다.

[TIP2]

  1. LangSmith 의 hub 에는 검증된 프롬프트가 많이 업로드 되어 있습니다.

  2. 검증된 프롬프트를 활용하거나 약간 수정한다면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https://smith.langchain.com/hub/search?q=rag
from langchain import hub
prompt = hub.pull("rlm/rag-prompt")
prompt
ChatPromptTemplate(input_variables=['context', 'question'], messages=[HumanMessagePromptTemplate(prompt=PromptTemplate(input_variables=['context', 'question'], template="You are an assistant for question-answering tasks. Use the following pieces of retrieved context to answer the question. If you don't know the answer, just say that you don't know. Use three sentences maximum and keep the answer concise.\nQuestion: {question} \nContext: {context} \nAnswer:"))])

단계 ⑦: 언어모델 생성(Create LLM)

OpenAI 모델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 gpt-3.5-turbo : OpenAI의 GPT-3.5-turbo 모델

  • gpt-4-turbo-preview : OpenAI의 GPT-4-turbo-preview 모델

자세한 비용 체계는 OpenAI API 모델 리스트 / 요금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from langchain_openai import ChatOpenAI

model = ChatOpenAI(temperature=0, model="gpt-3.5-turbo")

다음의 방식으로 토큰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rom langchain.callbacks import get_openai_callback

with get_openai_callback() as cb:
    result = model.invoke("대한민국의 수도는 어디인가요?")
print(cb)
Tokens Used: 39
	Prompt Tokens: 24
	Completion Tokens: 15
Successful Requests: 1
Total Cost (USD): $6.6e-05

HuggingFace 에 업로드 되어 있는 오픈소스 모델을 손쉽게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리더보드에서 날마다 성능을 개선하는 오픈소스 리더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HuggingFaceHub 객체 생성
from langchain.llms import HuggingFaceHub

repo_id = "google/flan-t5-xxl"

t5_model = HuggingFaceHub(
    repo_id=repo_id, model_kwargs={"temperature": 0.1, "max_length": 512}
)
t5_model.invoke("Where is the capital of South Korea?")
'seoul'

RAG 템플릿 실험

# 단계 1: 문서 로드(Load Documents)
# 문서를 로드하고, 청크로 나누고, 인덱싱합니다.
from langchain.document_loaders import PyPDFLoader

# PDF 파일 로드. 파일의 경로 입력
file_path = "data/SPRI_AI_Brief_2023년12월호_F.pdf"
loader = PyPDFLoader(file_path=file_path)

# 단계 2: 문서 분할(Split Documents)
text_splitter = RecursiveCharacterTextSplitter(chunk_size=1000, chunk_overlap=50)

split_docs = loader.load_and_split(text_splitter=text_splitter)

# 단계 3, 4: 임베딩 & 벡터스토어 생성(Create Vectorstore)
# 벡터스토어를 생성합니다.
vectorstore = FAISS.from_documents(documents=splits, embedding=OpenAIEmbeddings())

# 단계 5: 리트리버 생성(Create Retriever)
# 사용자의 질문(query) 에 부합하는 문서를 검색합니다.

# 유사도 높은 K 개의 문서를 검색합니다.
k = 3

# (Sparse) bm25 retriever and (Dense) faiss retriever 를 초기화 합니다.
bm25_retriever = BM25Retriever.from_documents(split_docs)
bm25_retriever.k = k

faiss_vectorstore = FAISS.from_documents(split_docs, OpenAIEmbeddings())
faiss_retriever = faiss_vectorstore.as_retriever(search_kwargs={"k": k})

# initialize the ensemble retriever
ensemble_retriever = EnsembleRetriever(
    retrievers=[bm25_retriever, faiss_retriever], weights=[0.5, 0.5]
)

# 단계 6: 프롬프트 생성(Create Prompt)
# 프롬프트를 생성합니다.
prompt = hub.pull("rlm/rag-prompt")

# 단계 7: 언어모델 생성(Create LLM)
# 모델(LLM) 을 생성합니다.
llm = ChatOpenAI(model_name="gpt-3.5-turbo", temperature=0)


def format_docs(docs):
    # 검색한 문서 결과를 하나의 문단으로 합쳐줍니다.
    return "\n\n".join(doc.page_content for doc in docs)


# 단계 8: 체인 생성(Create Chain)
rag_chain = (
    {"context": ensemble_retriever | format_docs, "question": RunnablePassthrough()}
    | prompt
    | llm
    | StrOutputParser()
)

# 결과 출력
print(f"PDF Path: {file_path}")
print(f"문서의 수: {len(docs)}")
print("===" * 20)
print(f"[HUMAN]\n{question}\n")
print(f"[AI]\n{response}")
PDF Path: data/SPRI_AI_Brief_2023년12월호_F.pdf
문서의 수: 23
============================================================
[HUMAN]
삼성 가우스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AI]
삼성 가우스는 삼성전자가 개발한 생성 AI 모델로, 언어, 코드, 이미지의 3개 모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모델은 온디바이스에서 작동 가능하며, 외부로 사용자 정보가 유출되지 않는 안전한 데이터를 통해 학습되었습니다. 삼성전자는 삼성 가우스를 다양한 제품에 단계적으로 탑재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문서: data/SPRI_AI_Brief_2023년12월호_F.pdf (페이지 10)

  • LangSmith: https://smith.langchain.com/public/4449e744-f0a0-42d2-a3df-855bd7f41652/r
# 단계 8: 체인 실행(Run Chain)
# 문서에 대한 질의를 입력하고, 답변을 출력합니다.
question = "삼성 가우스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response = rag_chain.invoke(question)
print(response)
삼성 가우스는 삼성전자가 개발한 생성 AI 모델로, 언어, 코드, 이미지의 3개 모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모델은 온디바이스에서 작동 가능하며, 외부로 사용자 정보가 유출되지 않는 안전한 데이터를 통해 학습되었습니다. 삼성전자는 삼성 가우스를 다양한 제품에 단계적으로 탑재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문서: data/SPRI_AI_Brief_2023년12월호_F.pdf (페이지 12)

  • LangSmith: https://smith.langchain.com/public/2b2913c9-6b9c-4a19-bb16-dc2256e2fdbf/r
# 단계 8: 체인 실행(Run Chain)
# 문서에 대한 질의를 입력하고, 답변을 출력합니다.
question = "미래의 AI 소프트웨어 매출 전망은 어떻게 되나요?"
response = rag_chain.invoke(question)
print(response)
2027년까지 AI 소프트웨어 매출은 2,510억 달러로 전망되며, AI 애플리케이션은 2027년까지 21.1%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AI 플랫폼은 2027년까지 35.8%의 연평균 성장률이 예상되며, AI SIS는 5년간 32.6%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문서: data/SPRI_AI_Brief_2023년12월호_F.pdf (페이지 14)

  • LangSmith: https://smith.langchain.com/public/17ef6df2-b012-4f8e-b0a8-62894d82c097/r
# 단계 8: 체인 실행(Run Chain)
# 문서에 대한 질의를 입력하고, 답변을 출력합니다.
question = "YouTube 가 2024년에 의무화 한 것은 무엇인가요?"
response = rag_chain.invoke(question)
print(response)
유튜브가 2024년부터 AI 생성 콘텐츠에 AI 라벨 표시를 의무화했습니다. 이 규칙을 준수하지 않는 콘텐츠는 삭제되고 크리에이터에 대한 수익 배분도 중단될 수 있습니다. 유튜브는 AI 생성 콘텐츠가 개인을 모방한 경우 개인정보 침해 신고 절차에 따라 콘텐츠 삭제 요청도 받을 계획입니다.

Reference

본 튜토리얼은 LangChain 튜토리얼 노트북 파일을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본 문서의 원 저작권자는 langchain-ai 이며, 코드는 MIT License 에 따라 사용이 허가된 파일입니다.
  • 원문 바로가기

댓글남기기